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직의도의 연구동향 관련 연구 및 스포츠활동과 이직의도

by 네임택 2022. 1. 21.

이직의도의 연구동향 관련 연구 및 스포츠활동과 이직의도

 

이직의도의 개념

 

이직(separation)이란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종업원 간의 고용관계가 단절되어 

종업원이 소속한 조직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또한 임상혁, 박재춘은 이직(separation)을 기업과의 고용관계가 단절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고용관계의 단절은 종업원 자신의 자의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고, 

자의와 관계없이 발생할 수 도 있다고 말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창근의 연구에서는 이직경험은 일반적으로 개인이 조직을 

이탈(離梲)해 본 경험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서은희의 연구(https://systemsacademy.io/) 에서는 이직의도의 개념을 현재의 직장 또는 조직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에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이 속해 있는 직장을 옮기고 싶다는 생각, 

같은 직장에서라도 직종을 바꾸고 싶다는 의지 등으로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서

벗어나고 싶은 정도를 의미한다. 

박남숙의 연구에서는 기관을 떠나려고 하는 생각을 말했으며, 

김경미의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이 소속되어 있는 조직, 직장, 기업을 떠나려는 의도, 

고민, 계획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직의도의 연구동향 관련 연구

 

이직 또는 이직의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크게 양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이직을 발생시키는 원인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로 이루어졌다.

황은기의 연구에서는 이직이란 종사자 스스로의 의사에 따른 이직을 의미하며 

사직이라고도 하는데 요인으로는 임신, 출산, 교육, 질병을 이직의 원인이라 하였다. 

박인규의 연구에서는 회사를 떠나는 이직의 영향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월급, 근무기간으로 제시하였고,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한 이선경의 연구에서는 연봉, 직장 내 인간관계, 회사의 장래성, 

경영진 신뢰, 업무 만족, 복리후생(https://jaymelbe.org/) 만족, 이직의 영향 요인을 들었다.

 

그리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이창근의 연구에서는 이직의도의 영향 요인들을 

개인차원의 요인(나이, 성별, 성격 등), 부서, 직무차원의 요인(직무적합도, 직무의 중요성 등), 

회사, 조직차원(임금 및 복지수준, 회사의비전)의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황은기의 연구에서는 근무시간, 보수, 연령, 의사결정 참여 요인을 

이직의도의 영향으로 들었다.

 

스포츠 활동과 이직의도

 

스포츠 활동이란 단합스포츠 활동, 사회체육, 생활체육 모두 포함한것으로 

공동체의식, 사회성발달과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행하는 

신체활동 모두를 포함한다. 

스포츠 활동과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김학운의 연구에서 개인적 여가 스포츠 활동을 하는 공무원들이 비참여자보다 

이직의도가 낮음을 보였으며, 민간 시큐리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김문성의 연구에서 단체 여가 스포츠 활동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고, 

직업 배드민턴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차윤숙의 연구에서 개인적인 스포츠 활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최현우, 최기문, 박태근등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스포츠 활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리원을 대상으로 한 강유경의 연구에서는 직무자체, 근무조건, 대인관계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가노인 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이수성의 연구에서는 직무만족과 

승진관계가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뤼위엔의 연구에서도 직무만족이 높으면 

이직의도는 낮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박성미의 기업의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지만 조직몰입이 높다고 해서 이직의도가 낮은 것은 아닌 결과가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조직몰입보다는 직무만족 정도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연구되었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직몰입은 직무만족보다 

이직을 예측하는데 더 효과적이며 조직몰입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더 높은 성과를 보인다고 나타났다.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장상태의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은 이직의사를 

줄일 수 있는 영향을 준다고 했다. 

또한 스포츠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고태진의 연구에서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황규선, 강윤희 연구에서도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다.